
cockpit 이란?
Fedora Project에서 나온 웹 UI 기반의 모니터링 및 관리 툴이다.
CentOS와 Ubuntu도 지원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기능
- 서버의 상태(cpu, memory, Disk I/O, Traffic)등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
- Services 메뉴에서 각종 서비스 데몬의 시작/종료를 컨트롤 가능
- Containers 메뉴에서 Docker를 추가 및 관리 가능
- Logs 메뉴에서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으며, Errors, Warings, Notices, All 항목으로 구분하여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7일전, 24시간전 등 세부적으로 볼 수도 있다.
- Storage 메뉴에서는 디스크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읽기/쓰기 속도를 구분하여 모니터링 가능.
- Networking 메뉴에서도 Storage 메뉴와 같이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에 대한 트래픽 볼 수 있다.
- Account 메뉴에서 시스템 계정에 대한 관리 가능.
- Terminal 메뉴에서는 웹을 통해 직접 터미널 접속을 통한 작업이 가능.
- Dashboard 메뉴에서 리소스에 대한 모니터링을 세부적으로 보여주며, cockpit이 설치된 다른 서버를 추가로 등록하여 모니터링 가능.
- 계정 메뉴에서는 계정의 생성 및 삭제 그리고 잠금 및 권한부여, 암호설정 가능.
- 전체적인 UI가 깔끔하고, 리소스가 많이 소모되지 않으며, 무료로 사용 가능한 모니터링 툴.
cockpit 설치
# cockpit 설치
yum install cockpit cockpit-dashboard
# 방화벽 오픈 (기본 9090포트)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cockpit
firewall-cmd --reload
# 데몬 시작 및 서비스등록
systemctl start cockpit
systemctl enable cockpit.socket
cockpit 로그인
- 웹 주소창에 http://서버IP:9090 입력하여 접속
- 로그인 정보는 서버 계정 정보와 동일
'서버관리 > 모니터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메테우스 & 그라파나 설치 및 연동 (Prometheus & Grafana) (0) | 2022.04.20 |
---|---|
원격서버 모니터링을 위한 Zabbix Agent 구성 (0) | 2021.09.27 |
Zabbix서버 구성하여 서버 모니터링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