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dHat Enterprise Linux 8.4 (RHEL) 로컬 저장소 설정
2022. 5. 13. 18:18
서버관리/기타 관리
RHEL 운영체제는 Subscription-Manager에 계정을 등록하지 않으면 yum 설치를 진행할 수 없다. Subscription-Manager 없이 Yum repository를 사용하기 위해 RHEL8.4 ISO 파일을 임포트하여 로컬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다. RHEL 8.4 로컬 저장소 설정 ISO 파일 임포트 미리 준비한 RHEL8.4 ISO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한 후, 임포트한다. $ mkdir -p /mnt/disc $ mount -o loop rhel8.4-x86_64-dvd.iso /mnt/disc mount: /dev/loop0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Repo 파일 생성 RHEL8.4의 repo 파일을 생성한다. $ vi /etc/yu..

프로메테우스 & 그라파나 설치 및 연동 (Prometheus & Grafana)
2022. 4. 20. 13:32
서버관리/모니터링
컨테이너 환경 모니터링에 적합한 프로메테우스와 프로메테우스가 수집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그라파나의 설치 및 연동 내용입니다.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설치 2. Node_Exporter 설치 3. 그라파나(Grafana) 설치 4. 프로메테우스 & 그라파나 연동 1.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설치 1-1. 계정 생성 및 파일 다운로드 - 계정 생성 $ useradd -m -s /bin/bash prometheus $ su - prometheus - 프로메테우스 다운로드 $ cd ~ $ wget https://github.com/prometheus/prometheus/releases/download/v2.29.2/prometheus-2.29.2.linu..

원격서버 모니터링을 위한 Zabbix Agent 구성
2021. 9. 27. 10:51
서버관리/모니터링
이전에 설치한 Zabbix 서버를 통해 원격서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원격서버에 Zabbix Agent를 설치해야한다. 같은 네트워크 내 서버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상의 서버 또한 적용이 가능하다. 1. Zabbix Agent 설치하기 $ rpm -Uvh https://repo.zabbix.com/zabbix/5.0/rhel/7/x86_64/zabbix-release-5.0-1.el7.noarch.rpm $ yum install zabbix-agent 2. Zabbix Agent Config 설정 $ vi /etc/zabbix/zabbix_agentd.conf 11 PidFile=/var/run/zabbix/zabbix_agentd.pid [기본설정] 30 LogFile=/var/log/zabbi..

Zabbix서버 구성하여 서버 모니터링
2021. 9. 27. 10:25
서버관리/모니터링
Zabbix 서버 설치하기 Zabbix는 수많은 종류의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등의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감시하고 추적하여 관리자에게 장애 발생을 신속히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다. 내가 사용해본 모니터링 툴중 가장 좋은 것 같았다. 현재도 Zabbix를 통해 서버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1. YUM 설치 $ rpm -Uvh https://repo.zabbix.com/zabbix/5.0/rhel/7/x86_64/zabbix-release-5.0-1.el7.noarch.rpm $ yum clean all $ yum install zabbix-server-mysql zabbix-agent 2. Frontend 설치 및 활성화 $ yum install centos-release-scl $ vi..

cockpit을 이용하여 서버 자원 모니터링
2021. 9. 2. 17:49
서버관리/모니터링
cockpit 이란? Fedora Project에서 나온 웹 UI 기반의 모니터링 및 관리 툴이다. CentOS와 Ubuntu도 지원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기능 서버의 상태(cpu, memory, Disk I/O, Traffic)등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 Services 메뉴에서 각종 서비스 데몬의 시작/종료를 컨트롤 가능 Containers 메뉴에서 Docker를 추가 및 관리 가능 Logs 메뉴에서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으며, Errors, Warings, Notices, All 항목으로 구분하여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7일전, 24시간전 등 세부적으로 볼 수도 있다. Storage 메뉴에서는 디스크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읽기/쓰기 속도를 구분하여 모니터링 가능. Networking 메뉴에서도..
특정 IP만 사이트 접근 허용 설정
2021. 7. 7. 14:17
서버관리/기타 관리
보안이 중요한 서버에는 특정 IP만 접근을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이트 접근(http)시 특정 IP만 허용하도록 설정해보자. ※ Centos 7 / Apache 2.4 / Tomcat 8.5 기준 1. 아파치 설정 vi /etc/httpd/conf/httpd.conf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eny from all Allow from xxx.xxx.xxx.xxx 설정을 변경하였으면 아파치를 재실행해준다. systemctl restart httpd 2. 톰캣 설정 톰캣 폴더의 server.xml 하단 부분을 수정해준다. vi /톰캣폴더/conf/server.xml ... Va..
UMASK와 퍼미션
2021. 6. 27. 10:17
서버관리/기타 관리
1. UMASK란? UMASK는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생성될 때 지정된 권한을 주도록 설정한 값. 파일의 최대 퍼미션값은 666, 디렉토리의 최대 퍼미션값은 777이다. 여기서 UMASK값을 뺀 값이 해당 파일의 허가권이 되는 것이다. ex) 파일(666) - UMASK(022) = 파일(644) 디렉토리(777) - UMASK(022) = 디렉토리(755) 2. 퍼미션(허가권) ls -l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 위치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출력된다. 파일인 경우 -rw-r--r-- 디렉토리인 경우 drwxr-xr-x 로 나타나는 것이 퍼미션(허가권)이다. r : 읽기권한(read) w : 쓰기권한(write) x : 실행권한(execute) 퍼미션을 쪼개서 살펴보면 rwx rwx rwx (소유자) (그룹) (..

하드디스크 추가시 설정
2021. 5. 28. 14:02
서버관리/기타 관리
1. 하드디스크 추가 1) 드라이브 목록 확인 fdisk -l 2) 새 하드디스크 추가 fdisk /dev/[디스크명] m (도움말) d (파티션 삭제) n (파티션 생성) 1 (파티션 넘버) 2048 Enter w (설정 저장) *파티션 설정 최대크기는 2TB!!! 3) 파일시스템 만들기 mkfs -t ext4 /dev/[디스크명] * 문답 나오면 y 4) 하드디스크 폴더생성 mkdir /hdd-backup 5) 디스크 마운트하기 mount -t ext4 /dev/[디스크명] /hdd-backup 6) 부팅시에도 올라오게 디스크 등록 vi /etc/fstab 2. 하드디스크 제거 1. 디스크 언마운트 umount /hdd-backup 2. 파티션 삭제 fdisk /dev/[디스크명] m (도움말) d ..

성능 테스트시 모니터링 요소
2021. 5. 27. 09:41
서버관리/성능 테스트
1. CPU Monitoring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CPU 사용률 기준 CPU 사용률 : 70%↓ CPU 실행큐 : CPU core당 평균 3개↓ CPU 사용률 확인 방법 : top -d 1 2. Memory Monitoring 메모리 사용패턴이 100% 라고 해도 부족하지 않으면 성능저하 발생X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메모리 판단 기준 메모리 사용률 : 100%↓ 지속적으로 프로세스 스와핑이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 일반적인 메모리 사용률 산출 전체 메모리 total : used + free + buffers + cached 실제 free 메모리 : free + buffers + cached 실제 메모리 사용량 : total - (free + buffers + cached) 메모리 사용률 확인 방법 : c..

[Jmeter] 쓰레드 유지 시 부하테스트
2021. 5. 25. 17:08
서버관리/성능 테스트
0. 테스트 조건 Jmeter를 이용하여 100명의 사용자를 발생시켜 로그인 동작시 발생하는 부하를 테스트한다. 총 100명의 사용자가 1초간 10명씩 생성된다. 즉, 10초동안 100명을 생성한다. 60초간 100명을 유지한 후, 1초간 10명씩 사용자가 삭제되며 테스트를 종료한다. 1. Stepping Thread Group 설정 This group will start : 발생시킬 총 쓰레드 수 Next, add : 1회 사이클에 발생시킬 쓰레드 수 threads every : 각 사이클 사이의 시간 using ramp-up : Next add 되는데 걸리는 시간 Then hold load for : 발생한 쓰레드 유지시간 Finally, stop : 1회 사이클에 삭제할 쓰레드 수 treads ev..